만성기관지염의 원인은 만성화된 염증입니다. (강남 윤제한의원 칼럼)
기관지가 염증, 담배, 대기오염, 공해 등
손상을 입힐 수 있는 요소들에
오랫동안,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주로 기침, 가래, 호흡곤란의 증상을 보이며
1년에 3개월 이상, 2년 동안 지속된다면
만성기관지염을 의심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만성기관지염은 다른 호흡기질환과 마찬가지로
면역력이 약해졌을 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자율신경의 균형이 깨지게 되면 면역밸런스 또한
무너지기 쉬운 상태가 됩니다.
그러면서 면역방어력이 약화되고
염증이 생기기 쉽고, 감염에도 취약해집니다.
따라서 만성기관지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체내 염증을 잡아주는 것과 동시에
면역체계를 바로잡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병증의 유형을 분류하여 그에 맞는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 또한 중요한
치료 포인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성기관지염의 유형은 기침과
가래의 상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울컥 쏟아지는 다량의 가래
(2) 점성이 높아 끈끈하게 달라붙은 가래
(1) 울컥 쏟아지는 다량의 가래
보통 습한 기침을 동반하는데 이는
진액이 순환하지 못하고 흉부에
정체된 경우에 주로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가래의 상태는 묽고 양이 많으며
기침하거나 누을 때, 타인과 이야기할 때 등
수시로 나오기 때문에 일상이 어렵습니다.
진액이 흉부에 정체됨으로써 발생하므로
혈액과 진액을 순환시켜줘야 합니다.
흉부에 고인 진액의 양이 줄어들면서
가래의 양 또한 자연스럽게 줄어듭니다.
진액의 배출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하여
운동 등으로 인하여 노폐물을 배출하고
탁혈을 개선하여 혈액의 흐름을 좀 더
원활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2) 점성이 높아 끈끈하게 달라붙은 가래
마른기침을 동반하며 가래의 상태가
끈적하고 기도 점막에 잘 떨어지지 않아
숨이 가쁜 증상을 유도합니다.
체내 진액이 부족한 경우에 발생합니다.
진액이 부족하므로 충분히 보충해야 합니다.
기관지 자체도 말라 있는 상태이므로
촉촉하게 만들어줌으로써 증상을 완화합니다.
또한 따뜻한 물을 많이 마시고
이뇨작용이 있는 차는 당분간만이라도
멀리 하시는 게 좋습니다.
오랜 염증을 배출하고 부족한 진액을
보하여 상태를 완화하는 것이
만성기관지염의 치료 원리입니다.
궁금하신 점이 더 있으시다면
위 연락처를 통하여 문의 부탁드립니다.
원인파악을 바탕으로 한 꼼꼼하고
세밀한 치료를 원하시는 분들께서는
윤제한의원에 내원해주신다면
상태에 맞는 치료계획을 수립하겠습니다.